돈이 되는 글쓰기 비법 8가지
이번 시간에는 실용적인 글 잘 쓰는 법 8가지에 대해서 작성해 보겠다.
하기 인스타 글 하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https://www.instagram.com/p/Cwe4B-GNMtP/?igshid=MzRlODBiNWFlZA==
1. 글쓰기의 목적을 안다.
목적이 중요하다.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글을 쓰고 있는지 의식하면서 써야 한다. 그래야 글을 쓰면서 무엇에 집중하고 무엇을 주의해야 할지 판단할 수 있다.
글쓰기의 목적 : 독자가 글을 읽는 것 / 상대방의 반응을 끌어내는 것
2. 독자가 충분하다고 느낄만큼 쉽게 쓴다
글이 갖춰야 할 기본은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우리가 쓰는 글은 대개 남이 읽어야 하는 글이다.
2.1. 쉽게 쓴다.
2.2. 짧게 쓴다.
2.3. 말하듯이 쓴다.
2.4. 정확한 단어를 쓴다.
3. 30초안에 유혹하기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한 번 훑는 데 걸리는 시간은 4초 내외이다. 4초 동안 읽을 수 있는 글자 수는 25자 정도다. 따라서 도입부에서 첫 문장은 25자 안쪽으로 강렬하게 써야 한다.
첫 문장 25자에 끌려 글읅 읽기 시작한 독자가 그 글을 끝까지 읽을지 말지 결정하는 시간은 30초다.
30초 안에 읽는 사람을 글 속으로 끌어들여야 한다.
4. 글의 생명은 제목이 결정한다
제목은 본문의 내용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 독자가 딱 봤을 때 이 글이 읽을만한 가치가 있다고 느껴야 한다.
혹하는 요소가 있어야 한다. 독자가 관심 있는 요소를 콕 집거나, 궁금증을 자아내거나, 필요를 자극해야한다. 관심, 호기심, 필요, 호감 중 하나는 불러 일으켜야 한다.
5. 행동하게 하는 글을 쓴다
글쓰기의 마지막 단계에선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 단순히 결론만 내선 안되며, 메시지의 핵심은 독자의 행동을 요구해야한다. 구매, 결재, 웹사이트 방문, 채용, 생각의 전환 등.
글을 다 읽은 독자가 의문을 가지게 하면 안된다.
6. 1% 다른 관점을 찾는다
흔히 창의력이 없어서 글쓰기가 어렵다고 말한다. 물론 시나 소설 같은 문학작품이라면 창의력이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우리가 쓰는 실용적인 글에서는 아니다.
실용적인 글은 자료로 쓰는 것이다. 다른 말로 모방과 인용의 과정이 글쓰기다. 거기에 1%의 독창성을 덧붙이면 된다.
남과 조금 다른 관점으로 글을 전개하는 것, 남과 조금 다른 의미를 부여하는 것 정도가 실용 글쓰기에서 필요한 독창성이다.
7. 이야기를 활용한다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스토리가 기본이 되는 영화나, 드라마, 게임은 물론이고 마케팅, 교육, 정치 분야까지 스토리텔링의 중용성을 강조한다.
이야기는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이래 가장 사랑받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이야기로 메시지를 전달하면 상대방은 더욱 공감한다.
8. 글쓰기의 기본 구성을 이해한다.
글의 완성도를 좌우하는 것은 구성이다.
구성이 잘 되어 있으면 눈에 잘 들어오고 이해하기 쉽다. 쓰는 사람도 한결 편하다.
실용 글쓰기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입-근거-메시지다. 서론-본론-결론, 기승전결 다 같은 말이다.
서론에서는 독자를 끌어들이고, 본론에서는 주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결론에서는 메시지를 전달하면 된다.